카테고리 없음
성조숙증 증상과 검사 시기【대한소아내분비학회, 2025 기준】
vivid1537
2025. 9. 30. 15:21
반응형
1. 성조숙증이란?
성조숙증은 여아 만 8세, 남아 만 9세 이전에 사춘기 징후가 나타나는 상태를 말합니다. 정상보다 빠른 시기에 2차 성징(유방 발달, 음모 발생, 고환/음경 크기 증가 등)이 시작되며, 조기에 성장판이 닫혀 최종 성인 키가 작아질 수 있다는 점에서 조기 발견과 관리가 중요합니다.
2. 주요 증상
여아
- 만 8세 이전 유방 발달
- 음모 또는 겨드랑이 털 발생
- 갑작스러운 키 성장 (1년간 6~8cm 이상 빠른 성장)
- 생리 시작(초경) 시기가 또래보다 현저히 빠름
남아
- 만 9세 이전 고환 또는 음경 크기 증가
- 음모 발생
- 목소리 변화, 여드름 발생
- 성장 속도의 급격한 증가
공통
- 체취가 강해짐
- 정서적으로 예민해지거나 성인스러운 행동
- 골연령(뼈 나이)이 실제 나이보다 빠르게 진행됨
3. 검사 시기
소아청소년과 전문의들은 다음 상황에 해당하면 검사를 권장합니다:
- 여아
- 8세 이전에 유방 발달 시작
- 2차 성징이 빠르게 진행되는 경우
- 남아
- 9세 이전에 고환 크기 4ml 이상으로 커짐
- 음경 발달, 음모 발생
- 공통
- 또래보다 급격히 큰 키 성장 (성장 곡선 상위 97백분위 이상)
- 부모가 체취, 음모, 유방·고환 변화 등을 발견했을 때
검사 항목은 주로 다음과 같습니다:
- 골연령 촬영(손 X-ray): 뼈 나이 확인
- 호르몬 검사 (LH, FSH, 성호르몬 수치)
- 필요 시 뇌 MRI (중추성 성조숙증 원인 확인)
4. 치료 및 관리
- 약물 치료: 성선자극호르몬 억제 주사(GnRH agonist)로 사춘기 진행을 늦춤
- 생활 습관 관리: 고칼로리 식습관, 비만, 환경 호르몬 노출을 줄이는 것이 중요
- 정기 검진: 3~6개월 단위로 성장 속도와 뼈 나이 추적
5. 부모가 유의할 점
- “조금 빠른 것 같아도 괜찮겠지” 하고 방치하지 말고, 증상이 보이면 빠른 시일 내 검진 필요
- 키가 빨리 큰다고 무조건 좋은 것이 아님 → 조기 성장 후 성인 키가 작아질 수 있음
- 아이의 심리적 불안을 줄이기 위해 부모의 세심한 대화와 지지가 필요
✅ 정리
성조숙증은 조기 발견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.
- 여아는 8세 이전, 남아는 9세 이전에 성징이 나타나면 반드시 병원 진료
- 골연령 검사와 호르몬 검사를 통해 정확히 진단 가능
- 치료 시기와 관리 방법에 따라 성인 키와 건강에 큰 차이를 만듭니다.
반응형